소동물 심부전증의 치료방법은 어떻게 될까?

반응형

1. 심부전증의 치료 요점

심부전 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심기능을 개선하고 심부전 관련 임상 증상(예, 부종, 호흡 곤란, 운동불내성)을 완화시키는 데 있다. 임상적으로 수축기 기능부전에 대한 치료의 가이드라인은 다양한 약물 실험을 통해 명백하게 확립이 되어 있지만 이완기장애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1) 수축기 기능장애에 대한 치료

임상적으로 개(Dog)의 경우, 수축기성 장애에 의한 심부전증이 압도적으로 많고 고양이(Cat)의 경우에는 비대성 심근증의 발병 비율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완기성 장애가 많이 발생한다. 수축기장애에 대한 가장 이상적인 치료제는 stroke volume을 증가시켜주고 preload(심장으로 유입되는 혈량)를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심실의 stroke volume은 preload를 증가시키거나, afterload(심장이 박출할 때 생기는 저항감)를 감소시키거나, 심근 수축력을 상승시키면 증가한다. 많은 심부전증에서는 이미 혈액 정체로 preload가 상승되어 있으므로 preload를 증가시킬 필 요가 없고, 지나치게 preload가 높을 경우, 오히려 폐부종이나 전신성 울혈을 악화시키므로 수축기성 심부전증 치료에는 preload를 높이기 위한 치료는 하지 않는다. 혈관 확장제를 투여하면 aferload를 떨어뜨려서 심실의 stroke volume과 ciection fraction(좌심실의 박출계수)을 개선시킬 수 있다. 양성적 심근 강화제는 stoke volume과 ejection fraction을 개선시키지만 장기적으로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켜 심부전을 악화시키므로 사망률을 높이기 때문에 급성 폐부종이나 말기단계 울혈성 심부전증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되는 약물로는 교감신경 흥분제와 phosphodiesterase 억제제가 있다. 많은 심장질환에서 보상반응으로 나트륨과 수분의 체내 저류가 일어나 혈량과 정맥압의 상승을 유발하므로 울혈과 부종이 발생한다. 이뇨제는 나트륨과 수분배설을 촉진하므로 울혈과 부종을 완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2) 이완기 기능장애에 대한 치료

임상적으로 이완기 기능장애는 심근이 지나치게 비대되거나 심근의 이완이 장애받아 심실 충전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할 경우 발생한다. 심근의 비대는 고양이에서 원발성으로 비대성 심근증(HCM)에 이환되거나 개의 경우 속발성으로 고혈압이나 판막의 협착증이 있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는 심근벽에 비정상적인 섬유화를 유발하는 제한성 심근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RCM)에 이환될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완기 기능장애는 정상적인 심실 박출 계수(ejection fraction)를 보이지만 심실의 이완기 말 기압을 상승시켜 폐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완기 기능장애는 수축기 기능장애보다 치료하기가 더 어렵다. 폐부종이 있을 경우, 이뇨제를 사용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체액을 제거하면 이완기압 감소로 인한 stroke volume의 감소를 유발하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1) 칼슘채널 차단제가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이 약물은 심근 수축력과 stroke volume을 떨어뜨리므로 수축기 기능부전에는 사용을 하지 않는다. 반면 이완기 기능장애의 경우, 심근의 수축력은 정상이므로 이러한 약물투여로 심각한 Stroke volume 감소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 약물은 심근의 이완능력을 개선하고 심박수를 떨어뜨려 심실 충전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을 확보해준다. 또한 비대된 심근을 퇴축시키고 동맥압을 떨어뜨리며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2) 베타 차단제 또한 이완기 기능장애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이 약물은 심근비대를 퇴축시키고, 동맥압을 떨어뜨리며, 심박수를 느리게 하고, 심근 수축 력을 떨어뜨린다. 심근 수축력에 대한 이러한 음성적 효과는 특히 심실유출로의 폐색이 있는 증례에서 유효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