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부종을 동반한 동물들의 심장질환 치료 요령

반응형

1.  급성 폐부종을 동반한 심장질환의 치료방법

심한 심부전증상을 보이는 환자는(폐부종이나 흉수/복수 소견과 호흡곤란 증상이 동반된 심한 증례) 원발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여러 가지 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우선 응급처치를 실시한다.

1) 치료의 요점

생명을 위협하는 폐부종을 완화하고 적절한 동맥압을 유지하며 중요 장기에 대한 원활한 산소공급을 하는 것이 요점이다.

2) 폐부종의 완화

1~2시간 간격으로 3~4 mg/kg의 furosemide를 IV 경로로(또는 continuous infusion) 투여하고 호흡수가 분당 50회 이하 또는 원래 호흡수의 50%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이뇨제를 계속 투여한다. 10 mL/kg의 정맥혈액을 제거하고 중심 정맥압(CVP)이 3~5cm H2O 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한다.

3) 정맥계 혈액 보존량을 증가시켜 심실의 preload 완화

Nitrate therapy로 3 kg 기준 1/4~1/8 조각의 nitroglycerine patch를 12시간 동안 부착한다. 또한 Morphine을 정맥주사 할 수 있다. Sodium nitroprusside 정맥주사를 Continuous infusion 방법으로 투약하고 지속적인 혈압체크를 통 해 수축기 혈압이 100mmHg 이하로 떨어지지않게 한다. 일반적으로 2ug/kg/min으로 2 시간 동안 투약한 후, 수축기 혈압이 100mm 1g 이상을 유지할 경우 4ug/kg/min으로 증량 하고, 2시간 뒤 혈압을 측정하여 수축기 혈압이 100 mmH1g 이상일 경우 6ug/kg/min으로 증량한다.

4) 산소공급

산소케이지, oxygen tent, mask, nasal oxygen 방법을 이용하고 산소케이지를 이용할 경우, 5L/min로 산소를 공급한다.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여 점막손상을 방지하고 고압의 산소에 의한 산소중독증이 발생하지 않게 주의한다.

5) 심계항진

강심제의 투여는 떨어진 심근의 수축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지만, 모든 폐부종 치료에 반드시 실시할 필요는 없다. 교감신경 흥분제인 dobutamine이나 dopamine을 주로 사용하며 epinephrine은 부정맥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dobutamine을 투여할 경우, 5ug/kg/min으로 continuous infusion 하고 2시간 간격으로 심박수를 체크하여 심박수가 10% 이상 증가하지 않거나 성견에서 180회 이상 되지 않으면, 2.5ug/kg/min씩 증량하여 최고 15ug/kg/min까지 투여가 가능하다. 하지만 심박수가 10% 이상 증가하면 투여 용량을 감량해야 하며, 부정맥이 발생하면 투약을 중지한다. 수액은 하지 않고 주사제투여를 용이하기 위해 IV line을 잡는 정도에서(유지용량의 25%를 혈관이 막히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수액을 실시하며, 수액의 처치 시에는 0.9%saline과 Hartman은 사용하지 않고 5% dextrose나 2.5% dextrose + 0.45% saline을 투여한다.

6) 부정맥에 대한 관찰

급성 심부전증이 있는 환자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정맥은 심방세동, 심방빈맥과 심실 빈맥이다. 부정맥의 발생비율이 분당 20회 이상이거나 연속적으로 나타나거나 발작성으로 나타날 경우, 부정맥에 대한 처치를 한다. 심방성 부정맥일 경우, diltiazem을 정맥주사하고, 심실성일 경우, 10배로 희석된 2% lidocaine을 천천히 투여한다.

7) 치료 참고 및 주의사항

심부전증의 치료에 있어 상기의 모든 약물을 투여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가감해야 한 다. 일반적으로 급성 폐부종은 FON (furosemide, oxygen, nitrate) 요법부터 시작하고 심근 수축력이 너무 떨어져 있을 경우, 강심제를 투약한다. 또한, 급성 폐부종을 동반한 심부전증은 호흡이 안정될 때까지 모든 약물은 IV 경로로투약한다. 매 시간당 vital signs(체온, 호흡수, 심박수)과 혈압을 체크하여 기록하고 요량과 수액량을 기록해둔다. 이뇨제 과량 투약으로 질산혈증이 나타날 경우, 경미한 경우에는 무시하고 중등도 이상으로 신부전의 우려가 있을 경우, 이뇨제(Furosemide)의 투약량을 줄이고 투약 간격을 늘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만약 폐부종이 다시 악화되거나 재발되면, furosemide를 증량하지말고 다른 종류의 이뇨제를 병합투여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