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와 고양이의 정상 혈압
개와 고양이의 저혈압과 고혈압을 감지하려면 먼저 각 축종별 품종별 정상범위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혈압 측정법(도플러법, 오실로메트리법, 직접 측정법)에 따라 정상 수치가 다소 차이가 있기 때 문에 어떤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범위인지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일회 측정보다는 다섯 번 연속 측정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편이 더 정확하고 종별, 품종 별, 환자별로 정상 혈압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각 환자의 정확한 혈압 모니터링을 위 해서는 일회성 측정보다는 일정한 주기로 혈액의 변화 추이를 기록해두는 것이 좋다(예, 매 년 건강 검진 시). 개의 일반적인 혈압 수치는 133/75이다. 일반적으로 골든 리트리버, 라브라도와 같은 대형품종은 혈압이 평균보다 낮지만, 그레이하 운드나 비글 같은 sight hound는 혈압이 평균보다 높다. 고양이의 일반적인 혈압 수치는 124/84이다. 고양이에서는 종 특이적인 정상 혈압범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체차이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혈압 변화의 추이를 파악해 두는 것 이 혈압 판독에 중요하다.
2. 혈압의 변동요인
혈압은 스트레스에 의해 측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측정 시 3~5회 연속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생리적 변동 요인
정상적으로 혈압은 10~15 mmHg 정도 변할 수 있다. 따라서 3~5회 연속 측정하고 최고값 과 최저값을 제외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실제 환자의 혈압을 확인하면 이러한 생리적 변동요 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일과성 변동
사람과 달리, 개와 고양이에서는 뚜렷하게 하루 중 혈압 변동추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어떤 연구에서, 개에서도 일과성 혈압변화가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다.
3) 스트레스 관련 변동
스트레스와 관련한 catecholamine 분비가 이러한 혈압변화의 원인이 된다.
4) White-Coat effect
사람과 동물 모두, 하얀 진료복을 입은 의사나 수의사를 보면(진료와 관련하여) 긴장하여 일시적으로 혈압이 상승하는데 이 현상을 말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에서 이러한 white-coat efect에 의해서 혈압이 약 30 mmHg 정도 상승한다고 한다. 대부분 이러한 현상은 몇 분에 걸쳐 일어나기 때문에 환자를 대기실에 기다리게 하거나, 반복측정 등을 통해 white-coat effect에 의한 이상 혈압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에 의한 변동, 갑작스런 소음(예, 열쇠 떨어지는 소리, 문 닫는 소리, 시끄러운 목소리, 경보음/경고등을 가 진 차량의 소리, 개 짖는 소리, 전화기 벨소리)은 환자를 놀라게 하여 catecholamine 분비를 유발하고 그 결과 일시적 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에 의한 혈압 변동은 매우 짧기 때문에 반복 측정을 통해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3. 혈압의 측정요령
소동물에서 혈압을 바르게 측정하기란 쉽지 않다. 혈압 측정에 가장 정확한 방법은 동맥혈관에 부착된 cannula를 삽입하거나 혈압 측정센서를 삽입하여 혈압 측정기께를 통해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마취가 필요한 방법이기 때문에 혈압 측정을 위해 보편적으로 실시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소동물에서 혈압의 측정은 혈압 측정용 커프(Cuff)와 sphygmoman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간접측정법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람에서는 청진기, manometer, 커프를 이용하여 동맥혈류의 흐름(Korotkoff sound)를 청진을 통해 감지하면서 커프에 mamometer로 바람을 넣어 혈류 흐름이 차단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고 있지만, 소동물에서는 Korotkoff sound가 감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과 같은 방법으로 혈압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소동물에서는 이러한 혈류 소리를 증폭기(Doppler probe)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측정하는 간접 측정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동물들의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0) | 2022.11.23 |
---|---|
소동물 혈전증에 대한 처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11.23 |
체구가 작은 동물에서 만성 심부전증 치료 전략 (0) | 2022.11.23 |
폐부종을 동반한 동물들의 심장질환 치료 요령 (0) | 2022.11.23 |
소동물 심부전증의 치료방법은 어떻게 될까? (0) |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