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아지 췌장염
1) 췌장염의 분류
a. 급성 췌장염
염증과정이 갑자기 시작되어 주로 가역적인 병변이 형성되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치료를 한다면 췌장을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급성 중에서도 급성 괴사성 췌장염의 경우 증상이 매우 심각하고 심지어 치명적이기 때문에 치료에 대한 예후가 불량하다. 급성 췌장염에서 췌장의 염증이 완전히 완화되지 않으면 만성 췌장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성 췌장염은 췌장의 비가역적 변화를 초래하지만 췌장염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임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임상 증상이 간헐적이거나 경증이어서 췌장염을 진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만성 췌장염 환자들은 주로 식이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만성 췌장염 상태에서 급성 췌장염으로 갑자기 돌변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증상이 미약한 만성 췌장염도 주의깊게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급성과 만성 췌장염 모두 질병의 심각도가 다양할 수 있다. 경증의 경우 전신 복합증이 적고 환자는 치료에 반응을 하는 반면 중증의 경우 다장기 복합증이 발생하고 예후가 불량하다. 한 후향적 부검 연구 결과에서는 약 1.5%의 개췌장에서 병변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2/3는 급성 병변을 1/3은 만성 병변을 보였다고 한다.
a-1) 합병증
주로 간이 영향을 많이 받는데 이는 혈액 공급량 감소, 췌장의 독성산물로부터 노출, 그리 담즙폐쇄 때문이다. 급성 신부전, 심혈관계 합병증, 그리고 파종성 혈관내 응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r lopathy, DIC) 역시 췌장염에 속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중증의 췌장염은 전신에 염증반응을 일으켜 다장기부전과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급성 췌장염이 치료가 된 것으로 보이는 많은 개에서 실제로는 지속적으로 준임상적인 췌장염증이 진행되고 있어 급성 췌장염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 만성 췌장염으로 인해 정상 췌장 기능이 소실될 수 있다. 따라서 췌장 외분비 기능부전증 (exocrine pancreatic insufficiency, EPl)이나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
a-2) 발병률
현재 개와 고양이 췌장염의 정확한 발병률은 수의사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20년 전 독일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에서는 개의 1.7%, 고양이의 1.3%가 외분비성 췌장 병변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으며 이 중 2/3가 췌장염으로 밝혀진 적이 있으나 췌장의 한 단면만을 조직학적으로 평가한 연구였기 때문에 실제 발병률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미국 뉴욕에 위치한 The Animal Medical Center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췌장염이 아닌 다른 이유로 부검을 실시한 200마리의 개 중 52.5%의 개에서 췌장의 림프구성 침윤이 발견되었으며 31.7%에서 호중구성 침윤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 중 임상적으로 중요한 췌장염이었던 개는 몇 마리였는지가 알 수 없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한계지만 최신 진단 기술의 발달로 인해 급성 췌장염의 진단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췌장염은 자칫하면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으로 그만큼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a-3) 병력
어떤 연령에서도 발병이 가능하지만 주로 중년에서 노령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발병률의 차이는 없다. 즉, 암수 모두 동일하게 이환되는 경향을 보이고 중성화 역시 췌장염 발병과 관련이 없다. 췌장염 발생이 흔히 보이는 품종으로는 미니어쳐 슈나우저, 미니어처 푸들, 코카스파니 엘, 요크셔테리어, 실키테리어와 비수렵건종(non-sporting breeds)이 있다. 췌장염의 발병 원인은 특발성일 수 있지만 췌장염의 발병 가능성을 높여주는 몇 가지 위험인자가 있다.
a-4) 임상 증상
췌장염의 임상 증상은 대부분의 경우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다른 질병과 감별하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보호자가 현실적으로 특별한 이유 없이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을 할 경우에는 췌장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경증의 취장염의 경우 임상 증상 역시 경증이고 간혈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가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호자에게 구체적인 질문을 하여 이러한 임상 증상이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예를 들면 미약한 식욕부진의 경우 개가 "입이 까다롭다."는 표현을 할 수 도 있다.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동물 급성 신부전의 병태생리를 알아보자 (0) | 2022.11.24 |
---|---|
개와 고양이 만성 신부전 개요와 임상경과 (0) | 2022.11.24 |
고양이 췌장염 발병원인, 병태생리 및 진단 (0) | 2022.11.24 |
간과 췌장질환을 앓는 소동물의 영양요법 (0) | 2022.11.24 |
고양이 심장사상충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0) | 202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