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간찾기
  • 홈
  • 태그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아주 공적인 정보
        • 의
        • 식
        • 주
        • 여가
      • 백세인생 건강하게
        • 영양제 정보
      •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
        • 건강 정보
  • 홈
  • 태그
  • 방명록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건강 정보

간과 췌장질환을 앓는 소동물의 영양요법

1. 간과 췌장질환의 영양요법 1) 지방 지방 식이의 유용한 효과로는 1. 단백질을 보존하는 효과, 2. 탄수화물의 불내성을 감소, 3.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증진, 4. 사료의 풍미의 향상, 5. 중요한 에너지원과 필수 지방산의 공급 등을 들 수 있다. 고양이 지방간의 관리는 적절한 일일 섭취 열량을 공급에 주는 것이 필수적으로 에너지 생산을 위해 아미노산의 이화작용과 말초 지방용해를 억제하며 과도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사료에는 25-40% DM의 지방과 4.4 kcal/g DM 이상의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구리 저장성 질환 (copper storge disease)과 문맥- 전신혈관 단락(portosystemic shunt) 질환에 적용되는 사료는 15~30% DM 지방..

2022. 11. 24.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건강 정보

고양이 심장사상충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1. 고양이의 심장사상충 고양이 심장사상충 감염증은 개와 같은 Diroflaria immitis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고양이가 primary host가 아니므로 중감염은 드물고 혈액중에서 자충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진단이 어렵다. 개와 달리 호흡기 증상이 주요 소견이며 성충구제보다는 대증요법에 집중해야 하는 등, 개와 병리임상학적으로 차이가 많은 질환이다. L1 유충이 모기내에서 감염력이 있는 L3 유충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개와 같이 130 HDU(Heartworm Development Heat Unit, 27°C at 10 days)가 모기 생존기간인 30일 이내에 획득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조건이 발육에 적절하더라도 14°C의 발육 역치 이하의 온도가 일정기간 지속된다면 L1 유충..

2022. 11. 24.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건강 정보

심장사상충의 임상 증상 및 진단에 대하여

1. 임상 증상 대다수 심장사상충에 이환된 개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임상 증상을 보이면 체중 감소, 운 동불내성, 허약 같은 전신 증상과 함께 기침, 호흡곤란, 실신 및 복수와 같은 소견을 주증으로 한다. 신체 검사상 심한 체중 감소, 심음의 분열(splic heart sound, 13%), 삼첨판 역류음(13%), 갤럽 음같은 이상 심음이 청진되기도 한다. 우심부전이 발생할 경우, 경정맥 노장 및 박동, 양성 간경정맥 반사(positive heparojugular reflex), 간비장종대, 복수 소견이 관찰될 수 있다. 폐실질에 사상충에 의한 침윤이 있을 경우, 기침과 crackle음 같은 이상 폐음이 청진되고 드물 게 육아종이 있을 경우, muffled lung sound(둔한 페음), 호흡곤란..

2022. 11. 24.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건강 정보

강아지 심장사상충 발병 기전에 대하여

1. 강아지 심장사상충의 생활사 개의 심장사상충증은 선충강과 사상충과에 속하는 개심장사상충 [Dirgflaria imminis (Lcidy, 1856)]이 원인체로서 모기가 중간숙주이며 개에서 주로 심장과 폐를 포함한 순환기계 질환을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개의 전염성 질환중의 하나이다. 1) 중간숙주 모기에서의 발육 심장사상충은 종숙주인 개, 고양이의 폐동맥 내에 기생하는 성숙한 암컷이 숙주의 혈중으로 미세사상충(microfilaria)이라 불리우는 자충을 방출한다. 이 미세사상충은 제1기 유충(L1 유충)으로 중간숙주인 모기 체내에서 발육한다. L1 유충은 모기에 감염 후 14일까지 L2 및 L3 유 충으로 발육한다. 그 후 L3 유충(제3기 유충)은 체강으로 나와 모기의 주둥이 부분으로 이동한 후 ..

2022. 11. 24.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건강 정보

고혈압의 임상적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자

1. 고혈압의 임상적 결과 전신성 고혈압은 초기에는 주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수 개월에서 수 년 동안 진행되다가 비가역적 조직손상에 의한 장기손상이 확실해진 후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사람에서 전신성 고혈압은 심장혈관계(예, 심근경색, 뇌졸중), 신경계(예, 고혈압성 뇌병 중, 뇌졸중), 비뇨기계(예, 진행성 신장 손상) 그리고 눈(예, 망막과 맥락막 손상)의 합병증 을 함께 보이며 나타난다. 비록 sight hound와 같은 특정 품종의 개는 정상 혈압 수치가 매우 높지만, 수의분야에서도 고혈압에 의한 다른 장기 합병증이 나타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심각한 전신성 고혈압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보통 수축기 혈압이 180 mmHg 이상일 때 나 타나는데 특히 48시간 이내에 수축기 혈압이 약 30..

2022. 11. 23.
내 반려동물과 오래오래/건강 정보

강아지와 고양이 고혈압의 정의와 원인

1. 고혈압의 정의와 원인 전신성 고혈압(Systemic hypertension)은 전신적으로 혈압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질환으로 주로 판막 폐쇄부전 같은 심장질환, 만성 신장질환, 부신피질 기능항진증(개), 갑상선 기능항 진증(고양이), 당뇨병 등이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 대부분의 고혈 압은 그 원인이 확실치 않은 idiopathic etiology에 의해 발생한다고 한다. 고혈압은 고혈압 그 자체보다는 고혈압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적인 변화에 의해 여러 장기에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고혈압에 의해 손상 받기 쉬운 대표적인 장기로는 눈(망막 박리), 신장(신기능부전 및 단백뇨) 및 뇌조직(뇌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뇌경색성 손상), 심장(좌심실비대) 등이 있고, 이러한 소건들 은..

2022. 11. 23.
  • «
  • 1
  • 2
  • 3
  • 4
  • 5
  • »
반응형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내시간찾기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